주식투자와 경제이야기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

미들양(middleY) 2025. 4. 6. 21:34
728x90
반응형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 조치로 인해,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경제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세 정책의 주요 내용과 초기 반응

202542, 트럼프 대통령은 평균 유효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22.5%로 인상하는 역사적인 관세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1968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인상으로, 발표 직후 주식시장은 급락하여 이틀 만에 6조 달러 이상의 부를 증발시켰습니다. 특히 나스닥과 러셀 2000 지수는 약세장에 진입했으며, 다우존스와 S&P 500 지수도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WSJ Investor's Business Daily 참조)

 

경제 성장 전망의 하향 조정

이러한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주요 금융 기관들은 경제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JP모건은 20254분기 GDP 성장률을 기존의 성장 전망에서 0.3% 감소로 수정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 확률을 6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2025년 인플레이션율을 3.5%로 예측하고, GDP 성장률을 1%로 낮추었으며, 실업률은 4.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응형

 

소비자와 기업에 대한 영향

관세 인상으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이는 전체 GDP70%를 차지하는 가계 지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기업들은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의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수의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피치 레이팅스의 올루 소놀라는 이러한 관세가 '게임 체인저'로 작용하여 기존의 경제 전망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OECD는 이러한 관세 정책이 경제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재점화를 초래하여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으며, 경기 침체의 위험을 높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미국 소비자 지출 감소, 기업 투자 위축, 인플레이션 상승 등을 통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이는 전세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경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앞으로의 상황을 잘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 'Hands Off' 시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 효율성 부서(DOGE) 책임자인 일론 머스크의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항의 운동이 2025년 4월 5일, 미국 전역과 세계 여러지역에서 1,200개 이상의 집회가 열렸습니다.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에는 수만 명이 모였습니다. 향후 이러한 시위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도 지켜봐야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남극의 무인도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관세를 부과한 것을 풍자하는 밈./ 엑스(X)

 

 

 

728x90
반응형